반응형

김진명 5

(57) 미중전쟁 1, 2 - 김진명

이어서 또 김진명의 소설이다. 사실, 지금 읽고 있는 책도 김진명의 “직지”라는... ^^ 미중전쟁. 제목이 남의 일인 듯하면서도 결코 남의 일이 아닌 우리나라로서는 실로 중차대한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제목이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꼴이랄까? 소설이 아니라 실제로도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우리가 고통을 겪는 일이 비일비재하니 말이다. 소설 속에서의 전개는 뭔가 드라마틱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읽으면서 영화나 드라마로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도 이 작품이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된다면 상당히 많은 부분이 각색될 수밖에 없으니, 만들기 어려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했다. 왜냐하면, 허구의 인물이 아닌 실제 인물들의 이름들이 적나라하게 등장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문재인, 푸틴, 시진핑..

독서 2024.02.23

(56) 황태자비 납치사건 - 김진명

김진명 작가의 책은 데뷔작인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와 “고구려 시리즈”를 읽었는데, 재미의 유무를 떠나서 묘하게 가슴을 뛰게 만드는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이 된다. 비록 고구려 시리즈의 경우 5권까지 읽고 너무 오랜 공백을 두고 6권을 읽으니, 너무 와닿지 않는 것이 아쉬웠지만(그래서 리뷰도 건너뛰었다.). 이 책은 읽는 내내 가슴이 뛰고, 흥분이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감정이입이 되고 있던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에 서술되어 있는 내용이 어디까지가 진실인지 모르겠으나, 이 천인공노할 사건이 사실임은 명백하지 않은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의 태도나, 우리 스스로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과거에 대해 내 까짓 게 ..

독서 2024.02.22

(39) 고구려 5 - 김진명

2014년 작성. 4권을 읽은 것이 지난 해 8월 중순 경이었으니, 4개월이 지나서야 5권을 읽게 되었다. 그런데도, 책 내용이 상당부분 생각이 나니 신기할 따름이다. 그만큼 인상 깊었을 거라 여겨지는 ‘고구려’. 파란만장했던 미천왕 을불의 시대가 끝나고 그의 큰 아들 사유 즉, 고국원왕의 이야기가 4권과 5권으로 전개된다. 특히나 5권에서는 엄청난 굴욕을 겪었던 고구려의 흑역사가 고스란히 전해진다. 그 굴욕의 중심엔 고국원왕 사유가 있었다. 천하를 호령했던 아버지 미천왕과 제갈공명도 울고 갈 천재 주아영을 어머니 사이에서 또한 어려서부터 아버지 을불을 넘어설 만큼의 용맹함을 보였던 동생 무도 있는데, 어째서 이런 큰아들이 나왔을까 할 정도로 책 내용은 답답하게 상황을 그려나간다. 하룻밤에 다 읽었다. ..

독서 2024.01.11

(32) 고구려 4 - 김진명

4권도 물론 미천왕이 비중 있게 등장하긴 하지만, 주된 줄거리는 그의 두 아들 사유와 무가 이끌어간다. 역사에 보면 큰아들 사유가 미천왕의 다음인 고국원왕으로 등극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책을 보면, 이 두 아들 역시 큰 인물임에 틀림이 없다. 둘의 성격과 추구하는 바는 정 반대이지만, 둘 다 큰 뜻을 품으며 자신의 주장을 뒤로 물릴 줄 아는 큰 인물인 것이다. 태자로 책봉되는 사유도 대단하지만, 필자는 둘째 무에게 더 큰 호감이 간다. 건장하지도 않고 무예에도 관심이 없고, 유약한 성격까지 지닌 사유는 모든 이들에게, 심지어 어머니인 아영에게까지 왕재가 아니라고 여겨진다. 반면 둘째 무는 고강한 무예실력과 강인한 성격에 깊은 사고력까지 갖추어 누가 봐도 을불의 대를 이을 왕재라 여겨진다. 하지만, 그의..

독서 2024.01.08

(31) 고구려 1, 2, 3 (미천왕 편) - 김진명

예약까지 해서 책을 빌렸었다. 행신도서관에 각 권별로 2~3권씩 있던 게 다 대출되어 있기에 예약을 걸어놓은 지 일주일 만에 문자가 왔기에 빌렸다. 평소 삼국지를 무척 좋아해서 수차례 읽었던 나로서는 이 책이 삼국지에 비견된다는 말에 나름 기대를 하고 있었다. 사실, 요즘 국사를 수능에 다시 넣네 마네 논란이 많다. 애당초 뺀 게 잘못이었다고 본다. 무슨 생각으로 교육정책을 수립하는 지 당최 알 수가 없다. 분명 공부 많이 하고 경험 많은 양반들이 결정한 사안일 텐데, 어찌 그리 어처구니없는 결정을 했었을까? 더 이상 얘기가 새기 전에 접어야겠다. 아무튼, 현명한 결정 내려주길 간절히 바랄 뿐이다. 이 책 고구려는 우리 고대 역사의 한 줄기를 읽을 수 있어서 기대가 되었었다. 아주 오래 전에 “삼국유사(..

독서 2024.01.08
반응형